2012여수세계박람회는 해양과 연안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여 기후변화, 생태계파괴 등 인류의 현안과제를 해결하는
계기
지속가능한 해양의 현명한 이용을 촉구하여 해양자원 고갈, 기후변화와 같은 인류의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방안 모색
* 포스트 교토(Post Kyoto): 지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만료되는 2012년 이후에 새롭게 규정되는
기후변화 국제협력체제.
* 포스트 교토(Post Kyoto) 체제에서는 선진국 뿐만 아니라 선발 개도국까지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 대상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
해양에너지 활용기술, 차세대 해양 바이오기술, 해양오염제어·환경기술 등 창조적 해양과학기술 개발과 해양레포츠, 해양관광업등 新해양산업 육성
해양레포츠, 해양관광업, 차세대 해양교통·조선업, 해양에너지 등 신 해양산업 육성을 통해 국가발전 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지향
-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미와 교훈을 가미해서
전달함으로써 바다에 대한 친근감·이해도를 높이고
해양이용의 시대적 소명의식을 전파
바다와 인간의 소통을 위한 탈 산업시대의 새로운
해양시민상(Seatizen)을 제시
-

특별한 전시연출과 독특한 스토리 전개, 다양한 볼거리
등을 통해 관람객들이 평생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선사
인종, 문화, 지식의 장벽을 넘어 누구나 박람회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자 상호간에 소통, 공유하는 장을 마련함
-

첨단 IT기술, 해양과학기술 등이 융합되어 미래해양비전,
가상현실, 과거의 해양 등 입체적인 체험의 박람회를
구현
기술보유가 어려운 후발 국가를 위한 환경 친화적 첨단
해양기술을 전시·공유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해양산업 및 과학기술의 비전을 제시
-

21세기 해양에 관한 새로운 국제적 협력과 평화적 이용을
촉구
포스트 교토(Post Kyoto)의 비전을 제시하는「여수선언」을 채택하고, 해양관련 개도국 지원 프로그램인「여수 프로젝트」를 시행
-

리스본 등 사후활용에 성공한 타 박람회를 능가하는 사후활용 계획 및 여수지역의
재생방안을 마련
엑스포 이후에도 해양과학기술과 산업이 조화된 친환경 해양도시로 남을 수 있도록
해양관련 첨단 연구시설 및 기관을 지속적으로 유치함

여수박람회의 주제(해양환경)를 충실히 구현하면서 박람회 준비 및 각종 행사에 탄소배출을 지양하고,
에너지파크를 풍력·조력·조류 등 신재생 에너지 사용의 테스트 베드(test bed)로 활용함
박람회장 조성에 있어 친환경 건축자재를 활용하며, 재활용품 사용 최대화 및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등
친환경 박람회를 지향함

우리나라의 최첨단 IT기술이 박람회장 조성 및 운영, 전시컨텐츠 구성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특히,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전시관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체험의 장을 제공할 것임
특히,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전시관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체험의 장을 제공할 것임
엑스포디지털 가로(Expo Digital Gallery)는 유비쿼터스 여수박람회를 가장 잘 구현하는 공간이 될 것임

박람회장에 조성되는 전시관 등 각종 시설들은 주제를 잘 구현하는 최신의 디자인으로 준비될 것임
이를 위해 한국관에는 한국적 전통미를 반영할 것이고, 한국관·주제관 등 주요 시설에 대해서
현상공모를 실시하여 최고의 디자인을 도출할 것임
또한, 각종 문화·예술행사 준비에도 저명 예술 총감독을 초빙하여 최고 수준의 박람회를 지향함

여수박람회는 문화행사를 전시행사의 부대행사가 아닌 주요행사로 다룰 것이며 공식행사, 전시컨텐츠, 학술행사 등에 폭넓게
문화·예술적 요소를 가미할 것임
이를 위해 여수박람회의 상징적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전 세계 유명 문화·예술 공연을 유치하여 지역마케팅의 핵심요소로
활용할 계획임
* 우리나라에서 하는 박람회이다
국가적으로 많은 계획을 가지고 열리는 박람회인만큼
세계적으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의 지지와 응원이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